들꽃소리
'곤드레' 내 다른 이름이야 - 고려엉겅퀴 본문
고려엉겅퀴
Cirsium setidens (Dunn) Nakai
이름이 거창하고, 또 꽃을 본 기억이 없는 사람들은 ‘그냥 엉겅퀴의 하나구나’하고 생각할 수도 있다. 고려엉겅퀴는 ‘곤드레’로 더 많이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보통은 말린 나물상태로 보거나, 곤드레밥 속에 들어 있는 나물로만 만나는 탓에 실물이 어떻게 생겼는지 아는 사람은 드물다. 이 기회에 꽃을 소개한다.
고려엉겅퀴는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다.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없다는 이야기다. 보통은 강원도 산간지방에서 자라지만, 사진의 꽃은 남한산성에서 촬영했다. 불리는 이름도 다양하다. 구멍이, 도깨비엉겅퀴, 고려가시나물 등등. 다 자라면 키가 1m 정도 된다. 꽃은 7월부터 10월까지 피고 줄기 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는 특징이 있다.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곤드레밥으로 먹는 잎은 어린잎이다. 드물게 흰꽃이 피는 것도 있고, 잎 뒷면이 하얀 ‘흰잎고려엉겅퀴라’는 사촌도 있다.
<월간 茶道 2012년 12월호>
'들꽃이야기 > 기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도 땅으로 내려온 별이야 - 개별꽃 (0) | 2013.01.30 |
---|---|
차가운 눈도 우리의 뜨거움을 덮을 순 없어 - 앉은부채 (0) | 2012.12.28 |
전장을 향해 가는 병사들의 행진 - 투구꽃 (4) | 2012.11.01 |
<주가리>라고 모두 같진 않아 - 박주가리 (0) | 2012.10.04 |
기와 위의 소나무 - 바위솔 (0) | 2012.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