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들꽃이야기 (169)
들꽃소리

풍도대극 Euphorbia ebracteolata var. coreana Hurus. 풍도는 경기도에 있는 작은 섬이다. 행정구역상 안산시에 속하지만 거리는 당진에서 더 가깝다. 봄에 흐드러지게 피는 야생화로 인해 2000년도 초부터 조금씩 알려지다가 10여 년 전부터는 몸살을 앓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좋은 볼거리를 보고픈 마음이야 같겠지만, 어디를 가든 ‘아니온 듯 다녀가시라’는 말은 마음에 새겨두는 것이 좋을 듯싶다. 풍도대극은 풍도에서만 자라는 풀이다. 붉은대극과 거의 비슷하며, 씨방과 열매에 털이 있는 것이 차이다. 꽃이 화려하지 않지만 뿌리는 약재로 쓰인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항암제 부작용 개선효과가 있다고 한다. 대극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덩굴별꽃 Cucubalus baccifer var. japonicus Miq. 우리 땅에서 함께 살아가는 식물들은 대략 4,700여종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두를 다 만나기는 쉽지 않고, 만나도 그냥 지나치기가 일쑤인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우리 땅 자생식물들은 꽃이 작고 수수해 가까이 다가가지 않으면 진면목을 보기 어렵다. 덩굴별꽃은 전국의 산야에서 만날 수 있는 식물이다. 덩굴에 별모양의 꽃이 핀다고 해서 덩굴별꽃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덩굴을 따라 지름이 2cm 정도 되는 꽃이 가득 달린다. 크지 않은 많은 꽃이 덩굴줄기를 따라 피고 지기 때문에 스쳐가기 쉽다. 꽃이 많아서 오히려 관심을 덜 받는 경우라고나 할까. 세상의 이치가 그런 거지 싶다. 석죽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흰물봉선 Impatiens textori var. koreana Nakai 봉선화는 고향집 마당이 떠오르는 꽃이다. 물론 요즘 젊은 사람들에게는 흔하지 않은 기억이다. 붉은 꽃잎을 따서 명반과 함께 찧어 손톱에 올려두면 매니큐어를 바른 듯 곱게 물든다. 무른 익은 열매는 손으로 건드리면 톡하고 터져 씨앗을 사방으로 흩어 놓는다. 물봉선은 고향집 뜰에서 자라는 봉선화와 같은 집안의 꽃이다. 종류도 제법 많다. 꽃 색깔별로 붉은 색의 물봉선, 노랑색의 노랑물봉선, 흰색의 흰물봉선이 있고, 지역별로 가야, 제주, 거제(처진) 물봉선 등이 있다. 대부분 물가를 좋아해 개울가에서 자란다. 아마도 이름 앞의 ‘물’은 그래서 붙여진 듯하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8종의 물봉선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진의 흰물..

갯개미취 Aster tripolium L. 개미취는 국화과 가문의 식물로 가을을 대표하는 들국화의 하나다. 개미취는 키가 크고 산속에서 자란다. 사촌들로는 가을에 관상식물로 흔하게 심는 벌개미취, 바닷가에서 소금바람 맞으며 자라는 갯개미취, 중부 이북의 산지에서 자라는 좀개미취 등이 있다. 살아가는 환경만 보면 가장 척박한 땅에서 자라는 별난 형제가 갯개미취다. 갯개미취는 바닷가 갯벌 언저리의 습한 땅을 터전으로 삼았다. 키는 크게 자라면 1m 정도다. 척박한 땅에서 자라는 식물들을 보면 안쓰러운 생각도 들지만, 어디까지나 사람들의 관점일 뿐이다. 가을 대표 꽃인 들국화는 종류가 워낙 많아 일일이 구분해서 부르기가 쉽지 않다. 꽃이 비슷하니 모두 ‘퉁’쳐서 들국화로 부른다. 갯개미취의 꽃도 다른 형제들과..

민눈양지꽃 Potentilla yokusaina Makino ‘양지꽃’이란 이름이 붙은 식물은 꽤 종류가 많다. 얼핏 떠올려 봐도 대표주자인 양지꽃, 너도양지꽃, 나도양지꽃, 눈양지꽃, 당양지꽃, 돌양지꽃, 물양지꽃, 섬양지꽃, 솜양지꽃 등등이 있다. 구분도 쉽지 않다. 여기에 사촌, 팔촌뻘 되는 꽃들도 즐비하다. 이들 모두는 장미과 집안인데, 그러다보니 꽃의 모양들이 비슷하다. 민눈양지꽃은 눈양지꽃을 닮았는데 털이 없다고 해서 붙여졌다고 한다. 꽃잎 안쪽의 짙은 황색반점이 특징이다. 우리나라 중부이남의 제법 깊은 산속에서 살고 있다. 그래서 만나려면 조금 수고를 해야 한다. 사진의 민눈양지꽃은 강원도 태백에서 촬영했다.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콩제비꽃 Viola verecunda A. Gray 제비꽃은 형제가 많다. 국내에만 대략 60종 가까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꽃은 대체로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꽃의 색은 흰색에서 옅은 분홍을 거쳐 짙은 보라색으로 이어진다. 그 사이에 노란색 꽃을 가진 형제도 있다. 잎의 모양 역시 집안 따라 다양하다. 콩제비꽃은 식물체 자체는 작다고 할 수 없으나 꽃의 크기가 다른 제비꽃에 비해 작다. 이름 앞에 ‘콩’이 붙은 이유도 그래서일 듯 싶다. 자라는 곳은 제주도를 포함한 중부이남 전역의 조금 습한 곳이다. 주변의 풀밭에 조금이라도 가까이 자세를 낮추면 기대 밖의 많은 꽃들을 만날 수 있다. 무엇보다 주변에서 만날 수 있는 제비꽃이 아주 많다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 콩제비꽃은 제비꽃과의 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