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야생화 (142)
들꽃소리
눈개승마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Maxim.) H. Hara 사방이 녹색으로 가득 찬 숲에서 마치 등불처럼 하얗게 빛나는 꽃을 피운다. 꼬리처럼 기다란 원뿔모양의 꽃차례를 따라 하얀꽃이 사방으로 퍼지는 폭죽처럼 피어난다. 흔한 야생화처럼 보이지만 나물로 인기 높은 식물이다. 울릉도에서는 삼나물로 불리며, 재배된다. 또 고기 맛이 난다고 해 고기나물로도 불린다. 이름의 유래는 알려져 있지 않다. 우리나라 고산지대에서 자생한다. 꽃이 사방으로 퍼져 피는 탓에 우아하게 촬영하기 쉽지 않다. 자칫 산만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앵초 Primula sieboldii E.Morren 앵초는 다른 야생화와는 달리 귀티가 묻어난다. 좀 더 분명하게 표현하면, 집안에서 키우는 화초같은 느낌이다. 그래서일까, 산에서 만나면 왠지 누군가 일부러 심어둔 것 같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흔한듯하지만 정작 만나기는 쉽지 않다. 물이 있는 습한 곳에서 자란다. 개인적으로 자생지 몇 곳을 알고는 있지만, 바쁜 일상에 쫓기다 찾을 때면 꽃 피는 시기를 놓치기 일쑤다. 앵초라는 이름에 대해서는 계명대학교 김종원 교수가 쓴 2권에 잘 설명되어 있다. 짧게 옮기면 일본명 그대로의 표기이며, 앵두와 앵초의 앵(櫻)은 모두 앙증맞은 어린 여자아이의 모습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그만큼 앙증맞고 사랑스럽다는 뜻이라고. 강원대학교 이우철 교수가 엮은 에는 앵초..
미선나무 Abeliophyllum distichum f. albiflorum Nakai 누구나 한 번쯤은 이 이름을 들어보았음직하다.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특산식물로, 충북 진천에서 처음 발견됐다. 전 세계적으로 1속 1종밖에 없어, 미선나무가 자생하는 지역 몇 곳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자생지는 충북과 전북 일대에 흩여져 있다. 미선나무라는 이름은 열매의 모양이 미선(尾扇)이라는 부채와 닮아 붙여졌다. 이우철 교수가 정리한 에는 단선목(團扇木)이라는 이름도 보인다. 요즘은 미선나무를 재배하는 농가도 많고, 정원수 등으로 키우는 사람들도 적지 않아 비교적 쉽게 만날 수 있다. 미선나무는 꽃의 색과 열매의 모양에 따라 상아미선, 분홍미선, 둥근미선 등으로 나뉜다. 개나리를 닮은 모양새답게 같은 물푸..
회리바람꽃 Anemone reflexa Steph. ex Willd. 이른 봄에 꽃을 피우는 대표적인 식물이 바람꽃이다. 바람꽃의 학명인 ‘Anemone’는 바람을 뜻하는 그리스어 ‘anemos’에서 유래했다. 그리스신화 속 아네모네의 전설이 담겨 있는 꽃이 바로 이 바람꽃이다.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바람꽃은 크게 바람꽃속, 너도바람꽃속, 만주바람꽃속, 나도바람꽃속 등 4개의 속으로 나뉜다. 그 중 아네모네라는 학명이 붙은 것은 바람꽃속이다. 대략 15종정도 알려져 있으며, 그 중 국내 자생여부가 불분명한 것도 1~2종 있다. 바람꽃속 꽃들은 꽃잎이 없다. 꽃잎처럼 보이는 것은 꽃받침이다. 회리바람꽃은 꽃받침마저 빈약하기 짝이 없다. 회리바람꽃을 처음 봤을 때의 느낌은 ‘뭐지?’였다. 화려한 꽃잎이 없..
동의나물Caltha palustris var. palustris L. 우리나라처럼 산에서 나는 다양한 풀들을 나물로 만들어 먹는 나라는 드물다. 이른 봄, 들과 산에서 나는 거의 모든 풀들은 그야말로 나물이고 쌈채다. 물이 좋고 땅이 좋아 이 땅에서 자라는 대부분의 식물들이 나물로 이용되지만, 드물게 독이 있어 그냥 섭취할 수 없는 식물들도 있다. 아예 독초로 이름난 천남성이나 투구꽃 같은 몇몇 식물을 제외하고는 잘 알려져 있지도 않다. 동의나물도 그런 식물이다. 동의나물은 특히 곰취와 잎이 닮아 서툰 나물채취꾼들이 자주 실수하는 식물이다. 독이 있어 잘못 섭취하면 적잖이 고생할 수 있다. 사진의 동의나물은 유명한 인제의 곰배령에서 촬영한 것이다. 동의나물은 습한 것을 좋아해 물가나 습한 땅에서 잘 자란..
익모초Leonurus japonicus Houtt. 논가나 도랑 옆 습기가 많은 들에서 쉽게 만날 수 있다. 익모초(益母草)는 한방에서도 그대로 쓰인다. 이름 그대로 ‘어머니에게 도움이 되는’ 식물이다. 산모에게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꿀풀과의 두해살이풀인 익모초는 속단, 쉽사리, 송장풀 등과 꽃의 모양이 닮았다. 하지만 익모초와 구별은 비교적 쉽다. 익모초의 꽃달림이 훨씬 촘촘한 편이다. 그래서 꽃을 사진을 촬영하기도 쉽지 않다. 식물 전체를 촬영하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꽃만 클로즈업해서 촬영하려면 제법 공을 들여야 한다. 사진의 익모초는 그 둘 사이에서 타협한 결과다. 가을이 익어가는 논과 건너편 산을 배경으로 클로즈업해 살짝 분위기만 남겼다. 촬영지는 충북 괴산이다.